행정복지센터
석수1동

우리 석수동 유래

지명유래 전설

석수1동은 조선 시대에는 금천현(衿川縣) 현내면(縣內面) 안양리(安養里)였다가, 정조 19년 (1795년) 음력 윤2월 1일 시흥현(始興縣) 현내면(縣內面) 안양리(安養里)로 되었다가, 고종 32년(1895) 5월 26일 칙령 제98호에 의거 시흥군(始興郡) 군내면(郡內面) 안양리(安養里)로 개칭되었다.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始興郡) 동면(東面) 안양리(安養里)라 했다가,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75호에 따라 안양읍(安養邑) 신안양리(新安養里)로 되었다가, 다시 1964년 1월 1일 안양읍(安養邑) 신안양제2리.3리(新安養二里.三里)로 개편된 후, 1973년 7월 1일 시제가 실시되면서 안양시(安養市) 석수동(石水洞)이 되었고, 1979년 4월 28일 시 조례 제340호에 따라 석수1동은 분동해 충훈부(忠勳府), 꽃챙이 등의 제 지역을 석수2동(石水2洞)이라 하였으며 1987년 1월 1일 대통령령 제12007호에 따라 광명시 소하1동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그 후 1989년 5월 1일 시 조례 제931호에 따라 만안출장소에 편제된 후, 1990년 1월 1일 시 조례 제10008조에 의거 충훈부 지역을 석수3동으로 분동(分洞)해 석수2동에서 분리되었고, 이어 1992년 10월 1일 내무부 승인 제892호에 따라 만안구로 편제되었다.

석수1동의 변천일람

  • 고구려 장수왕 63년(475) : 잉벌노현(仍伐奴縣)
  • 신라 경덕왕 34년(757) : 곡양현(穀壤縣)
  • 고려 태조 23년(940) : 금주현(衿州縣)
  • 조선 태종 13년(1413) : 금천현(衿川縣) 14년(1414) : 금양현(衿陽縣) 34년(1434) : 금천현(衿川縣)
  • 정조 13년(1795)음(윤) 2.1. : 시흥현(始興縣) 현내면(縣內面) 안양리(安養里)
  • 고종 32년(1895) 5.26. : 시흥군(始興郡) 군내면(郡內面) 안양리(安養里)
  • 1914. 3. 1. : 시흥군(始興郡) 동면(東面) 안양리(安養里)
  • 1963. 1. 1. : 시흥군(始興郡) 안양읍(安養邑) 신안양리(新安養里)
  • 1964. 1. 1. : 시흥군(始興郡) 안양읍(安養邑) 신안양2리(新安養二里)
  • 1973. 7. 1. : 안양시(安養市) 석수동(石水洞)
  • 1979. 4. 28. : 안양시(安養市) 석수2동(石水二洞)
  • 1987. 1. 1. : 대통령령 제12007호에 의거 광명시 소하1동 일부 지역 편입
  • 1989. 5. 1. : 만안출장소(萬安出張所)에 편제
  • 1990. 1. 1. : 시 조례 1000호에 의거 충훈부 지역을 석수3동으로 분동
  • 1992. 10. 1. : 만안구(萬安區)에 편제

우리동의 명칭 유래

  • 석수동(石水洞)은 관악산과 삼성산에 둘러싸인 안양유원지 일대에 석공(石工)이 많아 石手洞이라 하였으나, 1932년 개설된 수영장을 石水水泳場이라고 하면서 石手가 石水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 만안교와 만안교비도 이 석공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 관악산 계곡의 큰 바위와 맑고 깨끗한 물을 연상시키는 좋은 이름입니다.

석수1동 명승지

안양예술공원 사진
안양예술공원(구 안양유원지)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일대
안양예술공원은 안양의 명소로 한때는 안양시민과 서울시민들의 휴식처였다. 안양의 명물 포도가 생산되어 오가는 이들의 미각을 돋아 주던 곳이었다. 안양사 등 전통사찰과 중초사지 당간지주 등 국가유산이 있으며, 시는 이곳을 자연과 문화가 함께 숨 쉬는 종합휴양지로 만들기 위해 장기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염불암 사진
염불암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245번길 150 (석수동)
안양예술공원(구 안양유원지)에서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염불암(석수동 산 17)은 신라 문무왕 때 원효 윤필거사, 의상 세고승이 수도하던 곳으로 주위가 산으로 아늑하게 둘러싸여 있으며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에워싸고 있어 매우 평화로운 절경이다. 조선 태종 7년 한양의 백호에 해당하는 관악산의 산천 기맥을 누르기 위해 왕명으로 사찰을 대중창했고 이후 계속된 중수를 하여 조선 후기 철종 때에 이르러 도인스님의 칠성각 건립과 1992년 청봉스님에 의해 요사체와 대웅전이 완공되며 그 위용을 갖추게 되었다. 사찰 후면에는 높이 30척의 자연석을 깎아 만든 미륵존불이 유명하고 약수도 유명하다.

삼막사 사진
삼막사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78
삼성산에 위치한 전통사찰 제9호인 삼막사는 신라 시대에 원효대사가 창건한 후, 조선 초기에 무학대사가 중수하였고, 서산대사 등이 수도한 곳이라고 전해져 온다.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인 신라 문무왕 17년에 원효, 의상, 윤필 등 세 스님이 암자를 지어 정진한 것이 삼막사의 근본이며, 삼성산이라는 이름도 이때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 삼막사에는 조선 후기 건축양식인 명부전이 있으며 고려 시대에 세워진 삼막사 삼층석탑과 조선 숙종 때 건립된 사적비, 조선 후기의 삼막사 마애삼존불이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삼귀자, 감로정 등 향토유산 있어 삼막사의 역사를 알려주고 있다.

안양사 사진
안양사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31번길 103 (석수동)
안양예술공원(구 안양유원지) 입구에서 계곡을 건너 산길을 따라 약 250m를 따라 올라가면 안양사(석수동 산 28)에 도달하게 된다. 안양사는 효공왕 4년(900년)경, 궁예의 부하였던 왕건이 금주(시흥)와 과주(과천) 지역을 정벌하기 위해 나섰다가 삼성산 꼭대기에 구름이 오색으로 영롱하게 빛나고 있어 이를 이상하게 여겨 사람을 시켜 알아보게 했는데 구름 아래서 능정이라는 노스님을 만나게 되어 스님의 뜻이 왕건과 같아 안양사를 세우게 되었다는 창건 유래가 전해진다. 고려시대 사찰 안양사는 지금의 안양박물관 부지에서 옛 터가 발굴되었으며, 현재의 안양사는 1950년대 이후 대인대사 등에 의해 중창된 사찰로 정면 3칸의 대웅전과 요사채가 있으며 뒤편에 큰 미륵불이 있다. 대웅전 앞에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귀부와 부도가 남아있다.

석수동 마애종 사진
석수동 마애종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32번지
석수동 마애종은 달아놓은 종을 스님이 치고 있는 장면을 거대한 바위에 묘사한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한 마애종이다. 장방형의 목조 가구에 종이 쇠사슬로 연결되어 있다. 종은 음통, 용뉴, 연뢰와 연곽을 볼 때를 통일신라시대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으나, 당좌, 종신의 모표현 등을 볼 때 고려시대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통일신라시대 양식을 계승한 고려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막사 삼층석탑 사진
삼막사 삼층석탑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78 (석수동)
삼막사 삼층석탑은 삼막사 승도인 김윤후가 원나라 장수인 살리타를 사살하고 싸움에서 이긴 승적을 기념한 탑이라 전한다. 기단부는 장대석 4매로 하층기단 하대를 만들고, 하층기단 면석도 역시 장대석 4매로 되었으며, 갑석은 2매석으로 구성되었다. 상층기단 면석은 4매석으로 짜여있고, 갑석은 한 귀퉁이가 파손 되어 없어졌다. 탑신부는 탑신과 옥개석을 각기 1석씩으로 조성하였는데 각층의 옥개받침은 3단씩이다. 전체적으로 둔중하여 고려 시대의 특징을 잘 볼 수 있다. 높이는 2.55m이다.

삼막사 사적비 사진
삼막사 사적비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78 (석수동)
삼막사 사적비는 화강암을 사각형으로 깎아 만든 받침돌(臺石)에 비문을 새긴 몸돌(碑身)을 세우고, 그 위에 한옥의 팔작지붕 모양을 한 지붕돌(蓋石)을 올렸다.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나, ‘관악산맥 삼성산 아래 있는 절로, 이름이 삼막사다. 절 왼편에 향로봉(香爐峰)이 있다. 숙종 33년(1707)에 이 비석을 세웠다.’는 내용이 있어 삼막사의 역사와 사적비가 세워진 시기를 알 수 있다.

삼막사 마애삼존불 사진
삼막사 마애삼존불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막로 480 (석수동)
삼막사 마애삼존불은 자연암벽에 부조한 치성광삼존불로 조선후기를 대표할 만한 걸작이다. 주존인 치성광여래의 머리는 소발에 반달형 계주가 보이며, 얼굴은 사각형이지만 눈과 입, 볼 등을 율동감 있게 묘사하여 미소 짓게 함으로써 중후하고 자비스러운 인상을 풍기게 한다.

중초사지 당간지주 사진
중초사지 당간지주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석수동)
중초사지 당간지주는 중초사지 삼층석탑과 함께 남아있으며 양 지주가 85cm의 간격을 두고 동서로 세워져 있다. 서쪽 지주의 바깥쪽에 명문이 새겨져 있어 신라 흥덕왕 2년(827)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중초사지 삼층석탑 사진
중초사지 삼층석탑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석수동)
중초사지 삼층석탑은 단층기단으로 지대석은 판석형 석재를 여러 매 결구하여 마련하였다. 그 위에 각형 2단의 별석 받침을 높게 두었는데, 고려시대 석탑에서 채용된 수법을 보인다. 면석은 4매의 석재를 결구하였고, 우주는 좁고 낮게 모각하였다. 갑석은 2매의 석재를 결구하였는데, 하부에 갑석 높이보다 낮은 부연을 마련하고, 상면에도 낮게 탑신받침을 두었다. 단층기단이면서 면석이나 갑석 부연 등에서 간략화의 경향을 보이며, 전체적으로 고려 시대 경기도 일대를 중심으로 성행한 석탑의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안양사 귀부 사진
안양사 귀부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31번길 103(석수동)
안양사 귀부는 비신과 이수는 없어지고 귀부만이 남아있다. 몇 개의 장대석으로 지대를 구축했고, 굄대와 귀부가 한 개의 돌로 만들어졌다. 귀부 정상 중심에 비좌를 설정하고, 비좌의 각 면을 연꽃무늬로 돌리고 있다. 귀갑문은 6각형이며, 거북 머리는 용의 머리처럼 새겨 사실적이고 귀부 뒤편에 꼬리를 옆으로 새겼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보아 이 귀부는 고려 시대 작품으로 보인다.

석실분 사진
석실분

위치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236-9
석수동 석실분은 삼국시대 돌방무덤으로 삼성산의 남쪽 기슭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고분은 산의 정상부를 향해 남북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석실 내부는 화강암의 할석을 이용해 동·서·북벽은 면을 맞추어 축조하였고 남벽은 대판석 1매로 축조하였다. 돌방 위에 뚜껑돌 3매를 덮었으나, 가운데 뚜껑돌은 돌방 안쪽으로 함몰되었다.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안양시가 창작한 "우리동 유래"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으로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

담당자 정보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석수1동 > 행정
  • 전화번호 031-8045-3956